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1. 한국 – 섬서성 교류역사

고대

  • 중국 역사상 가장 개방적이었던 당나라 시기를 중심으로 원측, 혜초스님 등 여러 위인들이 활발히 활동

  • 7~9세기 당나라 시기 신라의 구법승들이 불교의 가르침에 대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당시 동아시아의 중심 도시이자 불교문화로 꽃피었던 장안을 방문하여 불경 연구, 번역 작업 등에 참여

  • 신라 왕자 출신인 원측 스님은 현장법사의 수제자로 수많은 경전을 번역하고 유식학을 강의했으며 현재 흥교사(興敎寺)에 원측 스님의 사리탑이 현장법사, 규기(窺基) 사리탑과 함께 자리

  • 소릉(昭陵) 주변에서 출토된 진덕여왕 석상, 건릉(乾陵)의 신라인 석상, 장회(章懷)태자 묘에서 발굴된 사신도에 나오는 신라 사신(고구려 사신이라는 주장도 있음) 등 당시 당나라와 신라 간 활발한 교류 증거 풍부

근대

  • 대한민국 임시정부 산하 광복군 총사령부가 시안 시내에 주둔하였고 광복군 제2지대가 시안 외곽에 주둔하면서 대일선전 등 항일운동을 활발하게 전개

  • 1942. 4월 광복군 제2지대가 광복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을 지대장으로 하여 새롭게 편성되었으며 초기 시안시이부가(二府街) 4호에 위치하였다가 1942. 9월 총사령부가 충칭으로 옮길 당시에 시안시 외곽의 두곡진(杜曲鎭)으로 이전

  • 2014. 5. 29. 중국 정부의 협조로 당시 광복군 제2지대 주둔지에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조성

  • 주시안총영사관은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조성 후, 매년 광복절 기념행사를 동 기념공원에서 개최

현대

  • 2007. 9. 20. 주시안총영사관 개관 후 삼성프로젝트 등 경제 협력 강화로 300여 개 한국기업 진출

2. 한국 – 섬서성 교역·투자·지방정부 교류 현황

가. 한국의 對 섬서성 교역현황(단위 : CNY¥ 억 위안)


연도

교역액

수출

수입 

2017년

499.3

194.1

305.2

2018년

673.2

346.6

326.6

2019년

731.1

376.4

354.7

2020년

903.2

444.5

458.7

2021년

1,013.4

453.2

560.2

2022년

915

350.6

564.4

2023년

680.4

267.4

413

※ 처 : 한국무역협회, 시안해관

※ 한국은 섬서성 제 1위 교역상대

※ 對 섬서성 주요 수출품 : 메모리반도체, 반도체·전자집적회로 제조용 기기, 프로세서 및 컨트롤러, 인쇄회로 폴리실리콘 등

※ 對 섬서성 주요 수입품 : 컴퓨터기억장치, 전자부품, 리튬이온배터리, 에어백부속품 등


나. 한국의 對섬서성 투자 현황 (단위 : US$천불, 건)

 연도

신고건수

신규법인수

투자금액 

 2013년

41

34

2,027,511

 2014년

36

20

171,558

 2015년

33

16

11,760

 2016년

19

9

7,171

 2017년

16

4

329,252

 2018년

29

8

341,953

 2019년

13

4

619,708

 2020년

10

3

8,246

 2021년

9

2

5,203

 2022년

11

2

12,075

 2023년

25

3

91,043

 2024년

 8

1

27,512

※ 출처 : 한국수출입은행

다. 교민사회(2024년)

거주교민(명)

법인수(개)

약 3,300명

약 180개

라. 지방정부간 교류 현황

성급

 교류도시(중국-한국)

 종류

 체결일자

 섬서성-경상남도

우호교류의향서 체결 

  2008.10.16 

 섬서성-경상북도

자매결연

 2013.04.05

 섬서성-부산광역시

교류협력도시

 2014.01.14

 섬서성-충청북도

우호협력도시 

 2015.05.19

 섬서성-세종특별자치시

우호교류도시

 2015.05.22

 섬서성-제주특별자치도

우호협력MOU 체결

 2020.11.20


시급 및 기타


 교류도시(중국-한국)

 종류

 체결일자

 시안시-경주시

 자매결연

 1994.11.18

 시안시-진주시

 자매결연

 2016.05.15

 시안시-안동시

 자매결연

 2020.11.30

 시안시-대전광역시

 우호협력도시 의향서 체결

 2019.11.12

 셴양시-의성군

 자매결연

 2003.10.17

 셴양시-함양군

 우호협력교류

 2015.11.19

 퉁촨시-봉화군

 자매결연

 1998.09.28

 웨이난시-구미시

우호결연협졍서 체결

 2014.11.17

 웨이난시-창원시

 국제우호도시

 2015.10.08

 한청시-여주시/광명시

 우호도시관계의향서

 2016.02.06

 상뤄시-진안군

 우호도시협정 체결

 2015.05.25

 바오지시-예천군

 자매결연

 2016.05.26

 한중시-창녕군

 우호교류협정 체결

 2019.02.20

 안캉시-부안군

 우호교류협약 체결

 2021.04.28

 부평현-제천군

 우호도시관계의향서 체결 

 2016.06.15


마. 한국 – 섬서성 경제협력 동향

  • 2012. 4월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시안 진출 이후 한·섬서성 경제협력은 급격하게 확대

  • 2012년 이후 한-섬서성 교역규모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18년 100억불을 초과

  • 한·섬서성 경제협력 증진으로‘삼성효과, 섬서속도, 시안효율’이라는 말이 생겼으며 약 180여개 한국 기업체 진출

  • 삼성전자는 1기 108억불, 2기 70억불을 투자하여 시안에 반도체 공장 건설

  • 시안 삼성 반도체공장이 가지는 3가지 의의는 △중국 개혁개방이래 가장 큰 규모의 단일항목 프로젝트, △한국기업의 외국 투자 중 가장 큰 규모의 단일항목, △ 최첨단 차세대 대용량 저장장치(낸드플래시 기반) 생산

3. 섬서성 시안 소재 독립운동 활동지

가. 한국광복군 제2지대 기념공원

1) 광복군 제2지대 시안 주둔 개요
  • 1940.9월 충칭에 설립된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는 그 해 11월에 시안으로 이전, 그 예하에 제 1·2·3·5 지대 설치

  • 1942.4월 광복군 제1·2·5 지대가 제2지대로 통합 재편

  • 1942.9월 총사령부가 시안에서 충칭으로 재이전하면서 제2지대 본부는 현 기념공원 위치인 시안시 장 안현(長安縣) 두곡진(杜曲鎭)에 잔류

  • 광복군 참모장 이범석 장군(초대 국무총리)이 제2지대장을 맡고, 제2지대는 주로 군사훈련과 대일선전 업무 담당

2) 표지석 기념공원 설립 경위
  • 우리측은 2009.4월 광복군 관련 유적지를 기념하는 표지석 건립을 위해 섬서성에 건립 허가를 정식 요청한 이래 주요 인사 교류 계기를 포함, 동 건 지속 제기 (‘13.6월 우리 대통령 시안 방문 계기 포함)

  • 중국측은 ‘13.12월 표지석 설치 최종 승인, ‘14.5월 제막식 거행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광복군 제2지대 표지석 및 기념공원>

나. 기타 광복군 활동지

1)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옛터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는 ‘40.11월부터 ‘42.9월까지 시안에 주둔하면서 중국 화북지역에서 병력모집 활 동을 활발히 전개, 창설 2년여 만에 300여명에 달하는 병력을 모병하며 광복군의 토대 마련

  • 한국광복군 총사령부 건물은 2층 목조 건물이었으나 현재는 건물이 철거되고 일대가 재개발되어 옛 모습 소멸

2) 한국광복군 OSS 훈련지
  • 시안 소재 광복군 제2지대 본부 인근 미타고사(弥陀古寺) 뒷산에서 ‘45.5월부터 미국 전략첩보기구인 OSS와 함께 국내진공 관련 훈련 실시

  • 제1기 훈련생으로 광복군 제2지대 대원 등 50명 선발, 미 교관들로부터 특수훈련을 받고‘45.8.4. 수료

광복군 OSS 훈련지

<광복군 OSS 훈련지>

※ 김구 임정 주석은 8.5.시안에 도착, OSS 책임자 도너반 소장과 국내진공작전을 협의하고 대원들의 시범도 관람하였으며 시안 방문 기간중인 8.10.일제의 무조건항복 소식을 접함.

3) 한국 청년훈련반 훈련지
  • ‘39.11월 한국 청년 전지공작대는 시안에 도착한 후 ‘40.2월 대원 16명이 중앙전시간부훈련단 제4사단에 설치된 한국 청년훈련반에 입교

  • 훈련생은 졸업 후 중국군 소위로 임관하였으며 화북지역에서 한인청년 100여명을 모병하는 등 활동 (교육은 3기생까지 실시)